ROE에 따른 적정 PBR

투자 이야기 2025. 9. 15. 13:27 Posted by UnHa Kim

 

오래 전에 읽은 후, 잊고 있다가 오랜만에 다시 읽은 '주식 투자 불변의 법칙'.

'다음 금융'(https://finance.daum.net/)에 꾸준하게 '증시 칼럼'을 게재하는 '이성수'님이 저술한 책이다.

책 내용은 깊은 성찰과 고민에서 나온 소중한 지혜임도 불구하고 왠지 공자/맹자 말씀 같은 밍밍한 느낌이 좀 아쉬운 책이다.

그럼에도, 오랜 고민을 해결해 주는 눈에 띄는 내용 하나가 있었다.

PBR의 경우는 ROE를 위험가중 시장금리로 나누어서 적정 PBR을 추정하기도 한다.

 

'벤저민 그레이엄' 방식의 투자법은 대개 PBR 1.0 이하, PER 10 이하등으로 간단하게 정의되는 '안전 마진'이 충분한 저평가 종목을 매수 후 보유하는 것이다.

그에 비해, '워렌 버핏' 방식의 투자법은 ROE가 높게 유지되는, 소위, '해자'가 있는 종목을 '적정 가격'에 매수 후 보유하는 것이다.

'해자' 종목은 애초에 드문 데다가, 시장 참여자들이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므로, '안전 마진'이 충분한 저평가 구간(예 : PBR 1.0 이하)에서 매수한다는 것을 매우 어렵다.

워렌 버핏은 '해자' 종목은 ('안전 마진'  작거나 거의 없는) '적정 가격'에 구매한 후 장기 보유해도 괜찮다고 말했다.

지금껏, 이 '적정 가격'을 어떻게 가늠할 것인지 모르고 있었는 데, 'ROE 대비 적정 PBR 산출법'은 이 문젱 대한 단순하지만 깔끔한 가이드라인이라 여겨진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기준금리'가 3%이라고 가정하면 , '위험 가중 시장금리'는 거기에 2~3% 더한 금리이므로 5~6% 이다.

그럴 경우, 장기간 ROE가 15% 수준으로 유지되는 '해자' 종목의 적정 PBR 수준은 다음과 같다.

 

- 위험 가중 금리 5%로 가정 : 적정 PBR (= ROE / 위험 가중 시장 금리) =  15 / 5  = 3

- 위험 가중 금리 6%로 가정 : 적정 PBR (= ROE / 위험 가중 시장 금리) = 15 / 6 = 2.5

 

즉, 이 예시 종목의 경우 적정 PBR은 대략 2.5~3.0 정도이라고 보면 된다.

 

한국에서 꾸준한 ROE를 유지하는 '해자'종목은 매우 드물다.

'해자' 종목에서 평가 수익이 발생한다고 해서 매도해서 수익을 실현하고 나면, 이후에 갈아탈 마땅한 다른 '해자' 종목을 찾기가 어렵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가치 투자 초보들이 흔히 하는 치명적인 실수이다.

그래서, 적정 가치에서 크게 벗어난 고평가 상태가 아니라면, '해자' 종목을 계속 보유하면서 높은 ROE가 지속되면서 시간이 흐르면서 내재 가치가 축적되는 것을 향유하는 것이, 어줍잖은 종목을 이것 저것 갈아타는 것보다  차라리 나을 수 있다는 게 워렌 버핏의  방식이다.

그러므로, 이 가이드라인은 단순하지만 '해자' 종목 매수 뿐만 아니라, 매도 시기를 결정하는 데에도 상당한 도움이 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