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PBR, PSR, PCR등의 가치 지표는 모두 계산 과정에서 '상장 주식 수량'이 들어간다.
일반적인 경우, '상장 주식 수량'은 변하지 않기에 상수로 두고, 가격의 변동만 고려하면 되지만,
주식 분할/병합/소각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장 주식 수량'이 변한다.
이러한 '상장 주식 수량'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으면
잘못된 밸류에이션 평가로 인해서 엉뚱한 종목을 선택하는 참사가 벌어지며,
주식 초보들의 수익율을 갉아먹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헤매다가
결국 매일마다 모든 종목의 '상장 주식 수량'을 갱신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너무나 무식한 방법인 데, 더 좋은 방법을 모르겠다.
'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동성에 대한 이해. (2) | 2021.09.29 |
---|---|
팩터 전략. (0) | 2021.07.19 |
시스템 트레이딩 중 겪는 심리적 장애. (0) | 2021.07.10 |
주식 투자의 지뢰 (0) | 2020.12.31 |
PER/PBR/PSR/PCR 공식 (0) | 2019.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