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린치의 이기는 투자.

책 리뷰 2024. 2. 7. 22:55 Posted by UnHa Kim

피터 린치는 역사상 최고 수익율을 올린 공모 펀드 매니저이다.

워렌 버핏은 '법인 CEO'이어서 투자 성과가 부진해도 해고되지 않는다.

피터 린치 같은 펀드 매니저는 성과가 부진하면 곧 해고된다.

게다가, 공모형 펀드의 경우 거품이 잔뜩 낀 활황장에 자금이 쏟아져 들어오고, 저평가 된 종목이 넘쳐나는 매수 기회에 (하락장에 지친 일반인들의 환매로 인해) 자금이 빠져나가는 아주 고약한 운용 환경이다.

피터 린치는 이렇게 불리한 환경에서 워렌 버핏보다 더 높은 수익율을 기록했다.

물론, 피터 린치가 활동한 1980년대에 미국 주식시장은 활황이었다는 행운도 있었다.

그러나, 1987년 블랙먼데이, 1990년 걸프 전쟁 같은 예상하지 못한 악재를 겪으면서도 이루어낸 성과이다.

 

피터 린치는 '월가의 영웅'이라는 책이 가장 유명하지만, 해당 서적은 일반인도 쇼핑몰 한 번만 둘러보면 전문 펀드 매니저를 넘어서는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키기로 악명이 높았다.

이 책 서문에 '오해 3가지'에서 해명하긴 하지만 유의해야 한다.

어쨋든, 이 책의 내용도 유머가 넘치는 문체로 투자에 도움이 되는 알찬 내용이 많다.

 

주말 걱정 증후군.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말이 되면 모처럼 시간적 여유가 생겨 TV와 신문에 보도되는 암울한 뉴스를 진지하게 받아들인다. 뉴스를 보면 인류의 미래는 암울할 수 밖에 없다.
(... 중략 ...)
투자자들에겐 뉴스를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매우 위험한 습관이 될 수 있다.
(... 중략 ...)
실제로 월요일에는 매도 주문이 쏟아지는 경향이 있고, 역사적으로도 월요일에는 큰 폭의 하락이 많았다.
(... 중략 ...)
새로 닥친 위기는 항상 이전 위기보다 더 심각해 보인다. 그래서, 악재를 무시하는 것은 언제나 어렵다.
(... 중략 ...)
주식 투자의 성공 비결은 신념을 잃지 않는 데 있다.
(... 중략 ...)
지난 70년간 주식시장이 다른 어떤 투자대상보다 더 높은 수익율을 기록해 오는 동안 10% 이상 급락한 적이 40번이나 있었고, 이 중 13번은 33%가 넘는 무시무시한 급락이었다.
(... 중략 ...)
주가 하락은 놀라운 일도, 특별한 일도 아닌 일상적인 일일 뿐이다.
(... 중략 ...)
20세기에 미국 증시가 40번의 약세장을 경험했다는 사실은 암울한 시기를 지날 때마다 나에게 큰 위안이 된다.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이번 하락 역시 우량 기업의 주식을 할인가에 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 주기 때문이다.

 

투자 전략의 유연성

여러가지 운용 스타일과 철학을 가진 몇 개의 펀드에 투자할 수 있다.
(... 중략 ...)
시장은 변하고 여건도 변한다.
한 가지 운용 스타일이나, 한 종류의 펀드가 항상 성공하기는 어렵다.
임의로 한 쪽만 선택하면 엄청난 대가를 치를 수도 있다.

일반 주식형 펀드, 가치 펀드, 안정 성장 펀드, 소형 성장 펀드, 재료보유주 펀드등 대략 6가지의 주식 펀드 유형을 설명한다.

각각의 투자 스타일이 수익창출력이 있음을 인정하고, 특정 투자 스타일에 편향되지 않고 골고루 사용하는 유연한 사고 방식이 인상깊었다.

성장주 투자로 성공한 사람의 책을 읽어보면 가치 투자야 말로 답답하고, 켸켸묵은 것이고,

가치주 투자로 성공한 사람의 책을 보면 성장 투자야 말로 대폭락이 예정된 위험하기 그지없는 불장난의 연속일 뿐이다.

대형주로 성공한 사람에게 소형주는 변동성이 너무 큰 위험한 지뢰밭일 뿐이고,

소형주로 성공한 사람에게 대형주는 느려터지고 답답한 고구마밭일 뿐이다.

피터 린치는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이 모든 투자 기법을 이해하고, 골고루 사용했다.

 

투자 스타일 뿐만 아니라 소형주와 대형주도 시기에 따라 어느 한 쪽이 상대적으로 더 유리한 지 바뀐다고 한다.

대형주로 이루어진 S&P500 지수 포함 종목과 소형주로 이루어진 뉴 호라이즌 펀드 종목의 평균 PER를 보면, 소형주와 대형주는 주기적으로 강세 시기가 바뀐다.

 

국가 통계 포털 사이트에서 확인한 시장 PBR/PER 지수이다. (2023년 12월 기준)

소형주 전략에서 주로 투자하는 코스닥 소형주가 PBR 기준으로도 코스피 대형주보다 더 높을 정도로 고평가 되었고, PER기준으로는 말도 안 되는 수준이다.

즉, 코스닥 소형주가 코스피 대형주보다 수익창출력은 1/20에 불과한 데, 가격은 오히려 더 비싼 상태이다.

이러니 소형주 전략이 부진할 수 밖에 없다.

지난 2~3년 간 소형주 전략의 부진이 지속되었는 데도 이유를 모르고 있다가, 이 책에 나온 대형주와 소형주 간의 비교 그래프를 보고 나서야 의문이 풀린 느낌이다.

코스닥 소형주의 고평가가 해소되기 전까지는 당분간 투자 유니버스를 시가총액 하위 종목으로 국한짓는 전략은 보류해야 할 듯 하다.

 

결론적으로 투자 스타일이나 시가총액 기준 유니버스가 다른 여러가지 전략을 병행 운용하는 것이 안정적인 투자 성과에 유리하다는 피터 린치의 조언이 한국 상황에도 유효한 것 같다.

 

그 외 개인적으로 제 15장 경기순환주 투자 관련 내용이 유용했다.

대부분의 주식에서 PER가 낮다는 것은 좋은 징조로 여겨진다.
하지만, 경기순환주에서는 그렇지 않다.
경기순환주의 PER 매우 낮다면 이는 호황기가 막을 내렸다는 의미이다.
(... 중략 ...)
현명한 투자자들은 매도 행렬을 피하기 위해 이 때 경기순환주를 처분한다.
(... 중략 ...)
주가가 떨어지면 PER는 떨어지고, 이 때문에 초보 투자자들에게 경기순환주는 더욱 매력적으로 느껴진다.
하지만, 이 때 경기순환주를 사면 값비싼 대가를 치르게 된다.
(... 중략 ...)
몇 년간 기록적인 이익 상승세를 보인 후 PER가 바닥을 쳤을 때, 경기순환주에 투자하는 것은 짧은 기간 내에 투자금의 절반을 잃어버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 중략 ...)
경기순환주 투자는 예측의 게임이기 때문에 수익을 내기가 두 배로 더 어렵다.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에도 '소외된 대형주' 전략을 설명하는 내용 중 '실적의 변동성이 매우 큰 종목'(경기순환주)의 경우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하며, 'PER이 해당 종목 과거 평균 PER보다 낮아야 한다'는 조건(혹은 필터)를 사용할 것은 권장한다.

 

이 내용을 읽는 순간 건설, 철강, 제지등 대표적인 경기민감 업종 종목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해당 종목들은 하나 같이 저PER, 저PBR이라서 아무리 봐도 매력적인 저평가 종목으로 보이는 데, 이게 다 '경기순환주의 함정'이었던 것이다.

 

피터 린치는 성장주 투자자로 알려져 있지만, 책 내용에는 가치투자에 대한 빼어난 묘사가 나온다.

모든 주식 뒤에는 기업이 있다.
몇 달간, 심지어 몇 년간 기업의 실적과 주가가 따로 노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기업의 실적과 주가는 100% 같이 가게 되어 있다.
장기적으로 기업의 성공과 주식의 성공은 100% 상관관계가 있다.
기업의 성공과 주식의 성공 사이의 괴리가 돈을 벌게 해주는 핵심 요인이다.
인내심은 보답받으며, 성공하는 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어도 역시 보답받는다.

피터 린치의 유튜브 강의 영상을 보면 최고의 수익율을 올린 종목들은 5~7년째 성과를 냈다고 한다.

피터 린치의 사례도 '투자는 기다림이 70%'라는 말이 적용되는 것 같다.

 

이 책은 마치 주식투자란 쉬운 것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만한 과도한 긍정적인 분위기가 있다.

대부분의 펀드 매니저는 종목 선정에 많은 제약을 받으며, 수익 잠재력은 높은 종목보다는 욕 먹지 않을 안전한 종목 위주로 투자하다보니 (큰 실수도 피하지만) 펀드 수익율이 대체로 보잘 것 없다고 한다.

피터 린치 본인이 근무하던 직장은 제약 없이 좋아하는 종목을 선정할 수 있는 환경이었것을 주요 성공 요인으로 꼽는다.

 

제 1장에는 중학생들이 '투자 대상 기업 조사/분석', '분산 투자'와 같은 기본적인 규칙을 지켜며 선정한 종목들이 전문 펀드 매니저의 평균 성과를 훨씬 뛰어넘었다는 일화가 나온다.

 

불행하게도 현실에서는 대부분 주식 투자자는 '기본적인 규칙'을 지키지도 않고, '종목 선정의 자유'를 제대로 활용하지도 않는다.

한국 주식 투자자들은 대개 (자기가 조사/분석해서 선정한 종목이 아니라) 언론과 유튜브에서 미래가 유망하다고 추천한 종목을 (5개 이상의 분산 투자가 아니라) 3개 이하로 집중 보유한다.

이렇게 책에 나온 중학생보다도 못한 투자 패턴을 반복하므로, 일반인의 투자 성과는 전문 금융업 종사자보다 못한 경향이 있다.

 

그런 점을 유의한다면 이 책은 투자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되는 책이다.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명한 투자자 요약판  (0) 2024.02.06
증권 분석  (0) 2024.02.05
벤저민 그레이엄 재무제표 읽는 법  (2) 2024.02.02
눈덩이 주식 투자법  (2) 2023.12.07
가치투자는 옳다. 장-마리 에베이야르  (0) 2023.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