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lowing the Trend (Andreas Clenow 지음)

책 리뷰 2021. 1. 8. 23:17 Posted by UnHa Kim

 

이 책의 저자는 굉장히 어려울 것 같은 내용을 정말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데 탁월한 능력이 있다.

 

시스템 트레이딩에서 진짜 중요한 것은  마법의 공식 혹은 비밀스러운 기술 지표가 아니라,

 

상관 관계가 낮은 자산들에 대한 분산 투자를 통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리한 확률 게임을 일관되게 수행하는 것이라는 것을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결국 내용은 '터틀의 방식'(커티스 페이스 지음)과 같지만 훨씬 더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터틀의 방식' 리뷰 : ghts.tistory.com/43 )

 

 

아마존 웹사이트 구매자 리뷰 란에도 요약 내용이 다 나와있는 데,

 

요약 내용을 읽을 때와 책을 직접 구매해서 저자의 설명을 따라가는 것과 천지차이이었다.

 

그 중요성에 대한 체감이 확~ 다가온다고 해야 할까??

 

 

똑같은 전략의 파라메터를 줄이거나 키워서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오는 것을 보여주는 것도 놀라웠다.

 

추세 포착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만 파라메터가 좀 바뀌어도

 

결과에는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25일 -> 50일 -> 100일로 바꾸는 데도 결과가 비슷하다.)

 

달을 봐야지 손가락을 보면 안 되듯이

 

가격 상승 추세 포착이라는 매매 규칙 설계자의 의도를 봐야지,

 

매매 규칙에 사용된 이동 평균이 몇 일인지에 연연하면 안 된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터틀 전략과 비슷한 단순한 추세추종 전략을 이용해서

 

전세계 유수의 헤지펀드의 운용성과를 복제해 내는 실증을 하는 것은

 

정말 소오름~~~ 돋는다.

 

 

가격 상승 추세라는 목적만 달성할 수 있다면 그 아무리 간단한 공식이라도

 

전세계 헤지펀드의 수익 원천에 동승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니까.

 

 

'터틀의 방식'에 나온 그 단순한 규칙이 거액을 벌었다는 게 뻥이 아니라,

 

실제로 전세계 헤지 펀드들이 (좀 더 복잡하고 정교한 공식을 사용하는 지 몰라도)

 

결국에는 '중장기 가격 상승 추세'라는 동일한 시장 움직임에 기대어서

 

운용되면서 수십년 째 지속적인 수익을 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돈 버는 비법의 단순함에 대한 허탈함과

 

그런 단순함으로 돈을 번다는 것에 대한 놀라움이 교차한다.

 

 

이 책은 일반인이 따라하기 힘든 선물 투자에 관한 책이며,

 

저자가 쓴 후속작은 주식 투자에 관한 책인데,

 

일반인이 바로 써먹기에는 2번째 책이 더 좋겠지만,

 

개인적으로 이 책의 감탄이 나오게 하는 설명 방식이 너무 마음에 들었다.

 

 

거금 60달러나 주고 전자책을 질렀지만, 읽고 나서 너무 잘 샀다고 생각한 책이다.

 

역추세(Mean Reversion) 전략에 대한 챈(Ernie Chan)의 1번째 책을 읽을 때 느꼈던 그 전율을

 

이 책을 읽으면서 추세추종 전략으로도 똑같이 경험하게 된다.

 

( Ernie Chan의 역추세 전략 서적 리뷰 : ghts.tistory.com/46 )

 

단순함이 모든 것을 이기는 이 전율은 정말 감동이다.

 

이 책도 번역이 안 되어 있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

 

 

어쨌든 강추~~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ufman Constructs Trading Systems  (0) 2021.01.13
Quantitative Trading (Ernest Chan 지음)  (2) 2021.01.08
터틀의 방식  (0) 2020.12.31
할 수 있다! 퀀트 투자  (0) 2019.08.28
월스트리트 퀀트 투자의 법칙  (0) 2019.07.27

터틀의 방식

책 리뷰 2020. 12. 31. 13:51 Posted by UnHa Kim

 

유명세를 떨치던 트레이더가

 

트레이딩 경험이 없는 사람들을 모아다가 가르쳐서 실전 트레이딩을 시켜서 대박을 터뜨린

 

역사상 전후무후한 '터틀 실험'에 참여했던 사람이 직접 쓴 책.

 

책에 나온 터틀 거래 규칙은 아주 단순하고,  장기적으로 수익이 나지만,

 

수익 변동성이 극심해서 일반인이 그대로 따라하기 어려워서

 

모두가 알지만 아무도 안 쓰는 전략으로 유명하다.

 

 

저자는 그 규칙이 왜 수익이 나는 지,

 

그 규칙이 공개되어도 왜 사용하고 지키기가 어려운 지,

 

대안으로는 어떤 전략이 있는 지 등등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추세 추종 전략을 개발하기 전에 반드시 읽어봐야할 명저이라고 생각한다.

 

 

주식 투자의 지뢰

투자 이야기 2020. 12. 31. 13:12 Posted by UnHa Kim

개발 과정
1. 표본 숫자 불충분

   : 10년마다 거의 확정적으로 찾아오는 대폭락의 기록을 감안하면,

     백테스트할 때 최소 10년치 데이터는 사용해야할 것 같지만,

     단기수익율에 눈이 멀면 그게 잘 안 된다.
2. 수익율 변동성에 대한 과소 평가

    : 백테스트 할 때는 수익율만 높다면 30% 손실 정도는 별 것 아닐 것 같은 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제 운용 중 15% 손실만 나도 멘탈이 붕괴되고,

      전략의 일관성 있는 실행을 포기하게 된다.

      (30% 손실을 견딜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적으며

       50% 손실을 견뎌내는 건 워렌 버핏 정도나 가능할려나?)

      


운용 과정 (단기)
1. 과도한 기대 수준.

   : 전략 백테스트 중 파라메터 최적화를 하기 때문에

     실제 운용 시 백테스트 기대 수익율보다 낮은 수익율을 기록하기 마련이다.

     이에 실망해서 더 높은 수익율을 찾아서 멀쩡한 전략을 폐기할 수 있다.
2. 손실 발생 시 전략 유지 여부 고민.

    : 어느 전략이든 간에 손실이 나는 구간이 발생하는 데,

      이게 일시적인 손실인지, 전략이 효력을 잃은 건지 구분이 안 되는 경우에는

      멀쩡한 전략을 폐기할 수 있다.
3. 손실 발생 시 초래되는 정신적 충격과 불행을 과소 평가.

    : 손실이 발생하면 정신적 영향으로 인해서

      수면에 장애가 오고,

      대인관계에 악영향이 오고,

      전체적인 행복감이 감소한다.

      레버리지를 써서 수익율 변동성이 높아질 수록 이러한 경향은 더욱 확실해 진다.

 

      행복하기 위한 수익 추구가

      수익 추구를 위한 불행으로 이어진다.


결론

- 원리 및 구현은 간단해도 실행이 어렵다.

 

 

참고 : 10년마다 거의 확정적으로 찾아오는 주식 시장 폭락의 기록.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tock_market_crashes_and_bear_markets

'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동성에 대한 이해.  (2) 2021.09.29
팩터 전략.  (0) 2021.07.19
시스템 트레이딩 중 겪는 심리적 장애.  (0) 2021.07.10
주식 분할 / 병합 / 소각  (0) 2021.04.16
PER/PBR/PSR/PCR 공식  (0) 2019.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