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채널 메이킹알파에 '훌륭한 투자자'의 재능 혹은 조건에 대한 찰리 멍거의 의견이 담긴 영상이 올라왔다.

 

https://www.youtube.com/watch?v=zPhZ35KXYm8

 

개인적으로는 계량적인 분석과 규칙에 따른 투자법으로 훌륭한 투자자를 모방할 수 있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주식 팩터 전략의 백테스트를 보면서 그렇게 생각하기도 했고,

투자 경험이 전무한 사람이 단 2주 간의 교육만 받고 성공적인 트레이딩을 수행한 터틀 실험에 관련된  서적을 읽을 때도 그랬다.

 

그런데, 몇 년 간의 실전 투자 경험을 거치면서, 스스로가 변동성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을 견디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고, 결국 '훌륭한 투자자'가 되기보다는 '폭망하지 않고 자본주의 성장의 과실을 평균만큼이라도 줏어먹는 투자자'가 되기로 목표를 수정할 수 밖에 없었다.

 

지금 되돌아 보면, 터틀 실험의 최고 우등생이었던 '커티스 페이스'가 심리적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투자 업계에서 조기 은퇴했다가 나이가 한참 먹은 후 투자업에 복귀를 시도하다가 실패하고 감옥 갔던 반면, 터틀 실험에서 '커티스 페이스'만큼 두각을 드러내지는 못했던 또 다른 터틀 실험 참여자인 '제리 파커 주니어'는 '체사피크 캐피털'이라는 대형 펀드사를 설립해서 성공적인 펀드 매니저로 커리어를 이어나갔으니, 결국, '훌륭한 투자자'를 구분짓는 것은 지식과 기술 이외에 심리적 요인이 큰 것 같다.
(제리 파커 주니어가 CEO로 등록된 체사피크 캐피털 홈페이지 : https://chesapeakecapital.com/team/)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 4판 서문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적절한 투자 기질을 갖추는 편이 재무, 회계, 주식시장에 대해 풍부한 지식을 갖추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
지식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투자 기질을 갖춘 '평범한 사람들'이 돈을 훨씬 더 벌고 유지한 사례가 많다.

 

실전 투자 경험을 쌓고 나니, 결국은 벤저민 그레이엄의 말이 맞았던 것 같다.

워렌 버핏 - 대성당과 카지노

투자 이야기 2025. 5. 27. 16:18 Posted by UnHa Kim

매 영상에 통찰이 한가득한 유튜브 메이킹알파 채널에 올라온 영상.

은퇴를 하는 마지막 주총에서도 워렌 버핏의 총명함과 화려한 언변이 그대로 살아있음을 본다.

 

자본주의가 낳은 부가가치 창출, 생산성 향상등의 긍정적인 측면을 대성당에 비유하는 동시에

자본 시장이 내포한 머니 게임의 부정적인 측면을 카지노에 비유하면서 재미있지만 통렬한 비판을 가한다.

 

재미는 있지만 결국은 남의 돈을 끌어들여서 주인만 바꾸는 머니 게임과

부가 가치를 창출해내는 기업의 성장을 이끌어내고, 인류에게 풍요를 가져다주는 진정한 자본주의 성장을 구분해야 한다는 의미를

회계적 관점으로 해석하자면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의 자본 항목에서 '자본 잉여금'(주식 시장에서 빨아들인 자본)이 '영업 잉여금'(기업 자체적으로 창출해 낸 누적 부가가치)를 초과하는 기업은 무조건 걸러라는 격언과 궤를 같이 하는 게 아닐까?

 

미국에서 이러한 통찰력을 가진 엘리트 계층이 나이가 너무 많이 들었다는 게 미국의 쇠퇴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워렌 버핏은 그냥 현명한 사람이어서 부자가 된 것 같다.

 

버크셔 주총 2025 “대성당과 카지노 사이” #워런버핏

 

종가 과대 관여 경고를 먹다.

투자 이야기 2025. 5. 16. 12:26 Posted by UnHa Kim

소형주 종목이 다수 포함된 전략을 운용하다보면 거래소로부터 경고를 받을 때가 있다.

유동성이 낮아서 장중에 보통 주문으로는 체결되지 않은 채, 동시 호가 시간이 도래하고, 전략 수행의 슬리피지(시간적 지연)가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문 체결 우선권을 가질 목적으로 현재가에서 약간 벗어난 호가를 제출하거나, 시장가 주문을 제출하면, 해당 날짜에 유동성이 유독 낮은 경우가 걸리면 아주 소액의 주문만 체결되었는 데도 거래소로부터 경고가 날라오기도 한다.

심지어 20만원짜리 주문 때문에 경고를 받은 적도 있다.

(20만원으로 시장을 왜곡한다고요??)

 

KRX의 시장 모니터링 시스템이 거래 규모는 고려하지 않고, 개별 종목의 유동성이나 특수성을 무시한 채, 무차별적으로 경고를 남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다음날 증권사 직원으로부터 경고 전화를 받고 나면 하루종일 기분 망치는 것이 사실이다.

고의로 나쁜 짓을 한 것도 아니고, 수십 종목으로 분산되어 있어서, 개별 종목 매매 금액은 정말 작은 데, 그걸 가지고 트집잡는 KRX의 수준 낮은 모니터링 시스템이 원망스럽지만 KRX는 개선 의지가 전혀 없는 것 같다.

 

그렇다고 슬리피지가 무한정 늘어나는 것을 용인할 수도 없으니, 그나마 거래가 가장 활발한 동시 호가 주문 시간에 주문 체결 우선권을 포기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최근에는 경고를 거의 안 받고 몇 달을 보냈는 데 오늘 또 다시 경고 전화를 받았다.

답답한 마음에 증권사 직원에게 이렇게 작은 금액의 주문이 도대체 왜 경고를 받는 지 물어봤더니, 주문 호가가 장중 고가/저가를 넘어서거나 근접하면 경고가 발생되는 것 같다는 말을 들었다.

 

동시 호가 산출 모듈에 호가가 장중 고가/저가를 넘어서지 않도록 필터를 추가했다.

앞으로 경고 받는 빈도가 줄어들었으면 좋겠다.